• 아시아투데이 로고
73조 투자 앞둔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 착공 11개월 당겼다

73조 투자 앞둔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 착공 11개월 당겼다

기사승인 2024. 10. 17. 16:3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17일 최상목 부총리 포항제철소 방문
현장서 "기업투자 적극 뒷받침" 약속
포스코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속도낼듯
전문가들 "정부 보조금 등 확대돼야"
포스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앞줄 가운데)이 17일 오후 포스코그룹과 투자활성화를 위해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방문, 2제강공장 조업현장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포스코
국내 1등 철강사 포스코가 포항과 광양에 각 20조원씩 쏟아부어 '수소환원제철 프로젝트'를 성공 시키겠다는 중장기 비전에 한발짝 다가섰다. 정부가 수소환원제철소가 들어설 부지를 살펴보고 각종 법적 절차를 대폭 간소화해 착공 시기를 11개월 앞당길 수 있게 하면서다. 이에 포스코는 2030년까지 신사업에 총 73조원에 달하는 천문학적 투자를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며 화답했다.

석탄 대신 수소를 이용해 철을 만들어 내는 일이다. 성공한다면 쇠가 만들어지는 현장엔 탄소가 아닌 물과 제품만 남는다. 완공 시 대표적인 '탄소 다배출' 산업 철강은 '환경 파괴자' 오명을 깨고 친환경 산업으로 변모 할 전망이다.

17일 산업계에 따르면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이날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방문해 포스코그룹과 투자 활성화를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에 앞서 최 부총리를 비롯해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 정기섭 포스코홀딩스 사장 등은 수소환원제철 매립 예정부지와 2제강공장 조업현장을 살펴봤다.

정부는 수소환원제철 프로젝트의 신속한 이행을 위해 해상교통안전진단 면제(6개월 단축), 환경영향평가 신속 추진(2개월 단축), 매립 기본계획 반영절차 신속 추진(3개월 단축) 등 총 11개월의 행정절차를 단축했다. 정부의 신속한 행정 처리로 수소환원제철소의 착공 시기는 내년 6월로 당겨질 예정이다. 또 녹색금융을 9조원으로 확대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R&D에 대한 재정지원도 2조2000억원까지 키워 간다는 방침이다. 배출권 이월규제 및 변동성 관리체계 등에 대한 제도개선도 연내 추진키로 했다.

정인섭 사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지원에 감사를 표하며 수소환원제철 프로젝트 등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수소환원제철은 철강업계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유일한 해결책으로 여겨진다. 철강산업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7%를 차지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전체 탄소 배출량의 15%에 육박한다. 향후 무역 장벽이 될 기후환경 규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는 중국 철강과 우리를 차별화 할 수 있는 카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상목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오후 포스코그룹과 투자활성화를 위해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방문, 수소환원제철 매립예정부지에서 강도형 해수부 장관과 함께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의 자체 기술 '하이렉스(HyREX)'를 통해 업계 변화를 이끌고 있다. 하이렉스는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가루 상태의 철광석을 직접 환원해 직접환원철을 생산하고, 이를 전기로에서 녹여 쇳물을 제조하는 방식을 말한다. 일정한 크기의 가공된 철광석 원료를 사용하는 해외 철강사와 달리 철광석 분광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이라 원료 확보·생산 원가에서도 경쟁력이 있다.

앞서 지난 1월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개소한 데 이어, 같은 달 정부는 수소환원제철을 국가전략기술로 선정했다. 이날 양측이 현장을 직접 살펴보면서 기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는 오는 2030년 하이렉스 상용화 기술을 완성하고, 2050년 수소환원제철소로의 완전한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이번에 보여준 관심을 시작으로 다방면의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에너지정책 전문가인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 일본 등은 이미 수소환원제철 상용화를 위해 제공되는 보조금 규모가 수십조원에 이른다"며 "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수소환원제철로 가기 위해 필요한 전기료와 수소 단가 등을 낮출 수 있는 정부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미 포스코가 하이렉스를 개발하고 있지만, 이게 사이즈업이 되려면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며 "공장 시설 하나에도 몇십조원이 들어갈 텐데 그런 것에 대한 자금 지원이 이뤄져야 나아가 우리나라 기업이 국내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아니면 전기요금이나 수소 단가가 싼 해외로 나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