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해외 직구 국내 반입 강화…이커머스 판도 바뀌나

해외 직구 국내 반입 강화…이커머스 판도 바뀌나

기사승인 2024. 05. 16. 16:4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KC인증 없는 제품 해외직구 금지
전문가 "이번 조치로 C커머스 타격 클 듯"
clip20240516163710
정부가 KC인증(안전인증)을 받지 않은 어린이·전기·생활화학제품의 해외직구를 원천 차단키로 하면서, 이커머스 업계의 판도가 뒤바뀔 전망이다. 그간 알리익스프레스(알리)와 테무 등 C커머스 업체들은 초저가 상품을 무기로 한국 시장서 무섭게 세를 불려왔는데, 이제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해외직구는 국내 반입 자체가 금지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정부의 결정에 국내 이커머스 업체들은 "늦었지만 이제라도 정부가 규제의 첫 발을 내딛여줘서 다행이다"고 입을 모은다.

◇해외직구, KC인증 없으면 이제 못 팔아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알리와 테무 등 중국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제품 가운데, 인체에 유해한 제품이 다수 포함돼 있다는 조사 결과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이에 정부는 다음 달부터 어린이용품을 비롯해 전기·생활용품, 생활화학제품 등 80개 품목에 KC인증이 없으면 해당 제품의 국내 반입을 차단키로 했다.

이번 조치로 전문가들은 국내 이커머스 업계의 순위에도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소비자들이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구매하는 제품 대부분이 국내 보다 저렴한 해외직구 상품인데, 이제는 KC인증이 없는 상품은 판매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이은희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국내 소비자들이 중국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생활용품이나 소형 가전 등을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안다"며 "해외 직구를 하더라도 이제 KC인증이 없는 제품들은 통관 자체가 어렵다 보니 이들 플랫폼의 실적도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내 이커머스 업체들도 '기울어진 운동장'이 이제야 바로 세워졌다며 환영하는 분위기다. 국내 이커머스 업체의 경우 KC인증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데, 중국 이커머스업체에서 판매되는 물품에 대해서는 제재할 규정이 없었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 이커머스 업체가 이제라도 토종 플랫폼들과 동일하게 제재나 규제를 받게 돼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호기심에 들어왔다가…발 빼는 소비자들
C커머스의 제품에서 이미 유해 물질 검출 등 품질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국내 소비자들의 이탈도 나오고 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 달 종합몰앱 한국 이용자 수 순위는 쿠팡, 알리, 테무, 11번가 순으로 나타났다.

쿠팡이 지난 3월 3086만6000여명에서 지난 달 3090만8000여명으로 4만1000여명(0.13%) 늘어난 반면, 알리 한국 이용자 수는 지난 3월 887만1000여명에서 지난 달 858만9000여명으로 28만2000여명(-3.2%) 줄었다. 테무 이용자도 같은 기간 829만6000여명에서 823만8000여명으로 5만7000여명(-0.7%) 감소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