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시리아 재건사업 놓고 정부 vs 건축가 ‘엇박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190612010006414

글자크기

닫기

성유민 기자

승인 : 2019. 06. 12. 13:53

syrian street
내전으로 파괴된 시리아 와디 알-사예 지역의 주택가./연합, 신화
8년 간 지속된 내전으로 파괴된 시리아 재건 방식을 놓고 정부와 건축가들이 엇박자를 내고 있다. 현재 시리아는 국가 차원에서 신도시를 포함한 대규모 재건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난민들의 불분명한 토지 소유권 문제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더구나 시리아 전후 체제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서방 국가들도 재건사업 지원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이에 현지 건축가들은 협동조합주택과 임시 대피소 마련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각 지역별로 상황에 맞는 소규모 재건사업을 추진, 난민들의 주거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내전으로 파괴된 시리아 재건사업을 위해 건축가들이 모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시리아는 계속된 내전으로 황폐화되면서 전체 인구의 3분의 1 수준인 620만명의 사람들이 주거난을 겪고 있다. 시리아 정부는 신도시를 비롯한 대규모 재건사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건축가들은 지역별, 그리고 소규모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재건사업은 파괴된 공동체를 다시 복구하는 것으로 사회·경제적 상황에 맞춰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도시학자 지하스 알-지바위는 “재건사업은 큰 그림부터 그리는 것이 아니라 각 지역에서부터 차근차근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내전이 발발하기 전 시리아는 도시로의 이주가 활발해지면서 무허가 주택 등 토지 소유권이 불분명한 주택이 양산됐다. 방임된 콘크리트 건물을 중심으로 이주민이 몰려들면서 대규모의 빈민촌이 형성된 것. 시리아 정부는 재건사업 과정에서 이같은 주택 처리가 장애물로 작용하자 지난해 8월 신규재산법(Law 10)을 발효시켰다. 신규재산법은 국가 재건을 위해 국민들의 사유재산을 등록하도록 하는 것으로 토지 소유권자가 재건지역 지정 후 1년 내 소유권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신규재산법 도입은 대규모 재건사업의 길을 터줄 것으로 여겨졌다. 특히 대규모 재건사업에서 가장 큰 관심을 모은 곳은 수도 다마스쿠스. 다마스쿠스 남서부의 빈민촌을 헐고 건설되는 신도시 마로타시티는 주택 1만2000호, 거주민 6만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진전은 없는 상태. 불분명한 토지 소유권 문제와 함께 미국을 포함한 서방 국가들은 전후 체제 협상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재건사업 지원은 아사드 정권과 러시아만 이롭게 할 뿐이라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 유엔(UN)이 추산한 시리아 재건사업 비용은 2500억 달러(약 295조3750억원)에 달한다.
건축가들은 난민들의 주거난 해결을 위해 협동조합주택과 임시 대피소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건축가 수잔 아부 자네딘은 시리아 대안주택개발 단체인 사칸을 설립하고 부족한 주택 문제를 조사, 수요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신규재산법의 경우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가 제출되지 않으면 해당 토지가 정당한 보상없이 지방자치단체 소유로 돌아가도록 만든다는 것이 그의 지적이다. 난민들 입장에서는 기간 내에 소유권 증명 서류 제출이 힘든 상황이어서 결국 원주민의 추방을 종용하게 된다는 것.

사칸이 추진하고 있는 협동조합주택은 초기 임대 형태로 운영된다. 임대 수익을 사업 확장에 재투자, 세대원을 확장하기 위해서다. 시리아 건축가 모임인 키바 스튜디오는 “내전은 끝났지만 불안감이 여전하다”며 현지에서 공급할 수 있는 압축토와 돌을 이용한 임시 대피소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성유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