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자의눈] 부동산PF 대출 확대한 증권사의 책임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21025010012511

글자크기

닫기

설소영 기자

승인 : 2022. 10. 25. 17:52

설소영 증권부 기자
최근 여의도에 증권가를 중심으로 중소형 건설사 및 증권사들의 '부도설'이 담긴 흉흉한 '지라시(정보지)'가 확산했다. 레고랜드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 등으로 인한 일부 채권·펀드 상황 불능과 중소형 증권사들의 부도설이 담긴 내용이었다.

일부 증권사는 금융감독원에 즉각 신고를 접수하며 "근거 없는 사실"이라고 부인했다. 금감원은 레고랜드 사태 등 자금시장 경색과 관련해 증권사나 건설사 부도와 같은 허위사실이 확산하고 있다며 시장 단속 강화에 나섰다.

그럼에도 건설시장의 자금난은 심화하고 있다.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시장이 멈추면서 자금 조달에 문제가 생기자 곳곳에서 공사가 멈추기 시작했다. 증권사도 유동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만기 PF채권을 담보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나 자산담보부단기채(ABSTB)를 발행해왔는데, 투자심리가 악화되면서 차환이 되지 않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증권사가 매입 보장하거나 신용보강을 한 PF ABCP와 ABSTB 중 이달에 만기가 오는 자산유동화증권 규모는 약 6조6000억원, 다음달에는 약 10조7000억원어치의 만기가 도래한다. 이렇게 자금 경색 상황이 악화될 경우 PF 대출이 많은 중소형 증권사부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경색된 자금시장 안정을 위해 기조성된 채권시장안정펀드 1조6000억원으로 채권 매입을 재개하고 캐피터콜(펀드 자금 요청)도 조속히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증권사에서는 부동산 PF 관련 부서 인원 감축에 나서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다.

지금의 위기는 증권사에게도 일부 책임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유동성이 확대된 시기에 자산 대비 PF 대출 비중을 대폭 늘린 탓이다. 특히 채무보증이 많다는 점이 증권사에게 치명적이다. 이 때문에 시행사가 부도를 낼 경우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

이번 사태를 일시적인 위기로 치부해 아무 대책없이 넘겨버린다면 다음에 또 이같은 일이 벌어질 경우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웅크리고 앉아 고개를 숙이고 소나기가 지나가기만을 바랄 수는 없다. 앞으로 신사업이나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 있다면 부디 이번 일을 반면교사 삼길 바랄 뿐이다.
설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