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둔 3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경찰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연합 |
31일 헌법학자인 황도수 건국대 법학전문 대학원 교수는 채널A 라디오 '정치 시그널'에 출연해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이 지연되는 상황에 대해 "기각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황 교수는 이와 같은 자신의 주장과 관련해 "처음에는 탄핵이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였다"면서도 "재판을 하다 보니까 새로운 사실들이 등장했고 재판 불공정과 부실한 증거가 나오고 있는 것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민들 사이에 '비상계엄을 한 이유가 있지 않았겠냐'는 마음이 일부 생기는 등 서서히 분위기가 바뀌면서 '과연 윤 대통령이 무조건 잘못했느냐'는 (분위기가 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황 교수는 "다수 재판관이 탄핵을 해야 하는데 숫자가 안 맞아 길어지는 상황도 예상해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덕수 총리 탄핵 심판 때 (헌법재판관 8명 중) 각하 의견 두 분, 기각 의견 한 분 있었다"면서 "지금 세 분 정도는 탄핵 인용을 거부하고, 나머지 한 분은 왔다 갔다 하는 분위기라고 예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파면을 위해 필요한 재판관 6명의 인용 의견이 확보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제가 볼 때는 인용이 안 되는 쪽, 기각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주장했다.
황 교수는 "헌재는 이처럼 중요한 사건의 경우 대부분 결정문을 미리 준비한다"며 "(여러 가지의) 결정문을 준비한 상태에서 개별 의견을 낸 재판관들은 따로 준비하고 있는 것 같다"고 추측했다.
또 "대통령 탄핵 심판은 내전을 종식시키는 사건이어야 하기에 헌재로서는 5000만 국민이 흔들리지 않는 시간을 골라야 하고, 그 시간이 언제인가를 두고 고민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