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라이칭더 臺 총통, 美와 강한 교섭 지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4010002976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4. 04. 19:07

관세폭탄 대비 철저 의지
美 32% 상호관세에 놀란 듯
실현되면 臺 GDP 15% 감소 전망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라이칭더(賴淸德) 대만 총통이 미국의 '관세 폭탄'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미국과 강한 교섭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사안의 심각성을 상당히 진지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clip20250404190238
미국의 관세폭탄 투하로 인해 발등에 불이 떨어진 대만 민주진보당(민진당) 정부 주요 인사들(사진 위)과 긴급 회의 장면(사진 아래). 라이칭더 총통(위 사진 가운데)을 비롯한 샤오메이친(라이 총통 왼쪽) 부총통, 줘룽타이(라이 총통 오른쪽) 행정원장의 표정이 썩 좋지 않다./대만 쯔유스바오(自有時報).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에 밝은 베이징 소식통들의 4일 전언에 따르면 라이 총통은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관저로 샤오메이친(蕭美琴) 부총통과 줘룽타이(卓榮泰) 행정원장(총리) 등 행정 및 국가안보 관계자를 소집한 가운데 긴급 회의를 연 다음 이같은 입장을 피력했다. 회의 시작 전에는 미국 정부가 발표한 32% 상호관세 부과로 인한 충격과 관련 부처의 경제 금융 조치 등 관련 보고도 청취했다.

이어 대만과의 무역에서 발생한 미국의 적자 일부는 대만이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과학기술 통제 정책에 협력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이런 정책이 미국의 고관세 부과로 돌아온 것은 불합리할 뿐 아니라 후속 충격이 걱정스럽다고 지적했다. 이미 줘 행정원장과 내각 관계자들에게 미국과 강한 교섭을 통해 반드시 국가 이익을 유지·보호하라고 지시했다고 강조한 것은 다 이유가 있다고 해야 할 것 같다.

이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전날 1977년 제정된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s Act)'을 근거로 전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상황이 예사롭지 않자 대만 행정원은 전날 성명을 내고 미국이 대만에 적용한 32%의 상호관세율과 관련, "명백히 불합리하다고 판단한다. 매우 유감으로 미국에 엄중히 항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대만 경제는 TSMC(타이지뎬臺積電)의 맹활약으로 한국 등과는 차원이 다른 쾌속 질주를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TSMC를 계속 거론하면서 끈질기게 괴롭히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다 까닭이 있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진짜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32%의 부과가 현실이 될 경우 상황은 심각해진다. GDP(국내총생산)가 무려 15%나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것은 분명 괜한 게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대만 경제 역시 한중일과 마찬가지로 사상 유례 없는 엄청난 위기에 내몰렸다고 해야 할 것 같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