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가 흔든 전세계 생산허브… 포스코, 세계경영 가속화할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7010003987

글자크기

닫기

이지선 기자

승인 : 2025. 04. 07. 15:46

일괄 25% 관세로 당장 피해는 ↓
장기화시 내수 부진 등이 우려
중국산 견제 등은 오히려 긍정적 평가도
포스코
장인화 포스코그룹 대표이사 회장이 포항제철소 4고로 풍구에 화입을 하고 있다./포스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관세 정책으로 산업계 전반이 흔들리는 가운데, 해외 생산기지들에 대한 점검도 필요하단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포스코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30%를 훌쩍 넘는 고관세가 예고된 국가에 생산망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행정명령은 철강재에는 해당하지 않고, 이미 25% 수준 관세를 부과받은 상황이지만 수요가 있는 전방산업을 따라 거점을 둬야 하는 철강사 입장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만들고 있는 불확실성 파장에 타격이 클 수 밖에 없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베트남·인도네시아등 아세안 국가에 대한 고관세가 예고됐다. 베트남은 46% 수준, 인도네시아는 32% 수준으로, 해당 국가들에는 우리 산업계의 현지 생산기지가 다수 분포돼있고, 포스코는 인도네시아에 일관제철소를, 베트남에 냉연 등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다행히 이번 명령에서 철강은 기존 무역법 232조에 따라 일괄적으로 25% 수준의 관세를 적용받기 때문에 당장 피해가 더 커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해당 해외 법인들의 대미 수출 물량도 크지는 않아 영향권에서 다소 벗어나있기도 하다.

그러나 관세 확대로 인한 원가 상승 부담이나, 내수 부진 등에 따른 영향은 여전히 우려요인이다. 앞서 트럼프 1기 당시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로 미국 기업 생산 비용은 10% 가량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던 바 있다.

그중에서도 베트남은 중간재를 들여와 가공해 다시 판매하는 구조기 때문에 영향권에 들 가능성이 있다. 앞서 베트남은 선제적으로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해외산 철강재에 대해 반덤핑 제소를 통해 관세를 인상한 바 있다. 포스코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으나, 글로벌 무역 장벽이 더욱 강화된다면 해외 법인의 생산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다만 일각에선 중국산 철강재에 대한 고관세가 이어지는 만큼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가 유리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특히 포스코 해외 법인들이 위치한 국가들은 중국산 철강 공급 과잉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여러 정책을 도입한 바 있기도 하다. 인도네시아, 베트남 모두 중국산 열연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인도 또한 중국산 철강에 대한 관세가 높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현지 법인 효율화를 최대한 추진하며, 해외 투자 다각화를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인도에 일관제철소를 짓고 시장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 한편으로, 미국 직접 투자 등도 고려하면서다.

앞서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지난달 말 창립 57주년 기념사를 통해 "미국과 인도 등 철강 고성장·고수익 지역에서 현지 완결형 투자와 미래 소재 중심 신사업을 추진해야한다"고 밝힌 바 있다. 중간재를 가공하는 하공정이 아닌 쇳물 생산부터 시작되는 상공정 생산망 확대가 전망되는 배경이다.
이지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