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여의로]서민금융 외면하는 저축은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10010006537

글자크기

닫기

조은국 기자

승인 : 2025. 04. 10. 18:06

조은국 사진
지역·서민금융기관이었던 저축은행이 더 이상 서민금융을 하지 않는다. 급전이 필요해 저축은행 문을 두드리는 금융소비자들을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이유는 돈이 안 되는데, 비용만 많이 들기 때문이다.

국내엔 79개 저축은행이 영업을 하고 있고, 2021년엔 2조원가량 수익을 내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코로나 시대 제로금리로 시장에 유동성이 풍부했고, 부동산 가격 급등 등 건설경기도 좋아 부동산PF를 통해 천문학적인 돈을 벌 수 있었다.

이때는 저축은행들이 개인에게도 문턱을 낮춰 신용대출을 적극적으로 내줬다. 저축은행이 부동산PF 등 기업금융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개인 신용대출 등 리테일 영업 비중도 함께 키워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22년부터 꺾이기 시작한 경기는 좀체 회복되지 않았고, 부동산PF발 위기로 인해 2023년 5800억원, 2024년 4000억원가량 적자를 기록했다. 부실 리스크도 심화됐다. 2022년 3.4%수준이던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 8.52%까지 급등했고, 부동산PF 등이 포함된 기업대출 연체율은 13%에 육박했다.

저축은행업계는 이처럼 부동산PF로 발목이 잡히자, 개인 신용대출부터 중단하며 서민금융 역할을 외면하기 시작한 것이다.

부동산PF 시장이 침체되고 구조조정이 요구되면서 새롭게 부동산PF를 진행하기가 어렵게 되자, 기업금융 한도를 높일 필요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형 저축은행들은 금융당국의 눈치를 보고 드러나게 신용대출 등 리테일 영업을 중단하지는 않았지만, 과거처럼 적극적으로 마케팅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역 및 소형 저축은행은 아예 개인 신용대출을 받지 않거나, 신청이 들어와도 거절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상황이다.

사실 개인 신용대출 등 리테일 영업은 사후 관리 등으로 인해 업무강도가 높아 인원이 많이 필요하다. 같은 1000억원의 대출을 내줘도 부동산PF 등 기업금융은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이, 개인 신용대출의 경우엔 10명이 해야 한다는 얘기다. 또 개인채무자보호법 개정으로 추심과 부실채권 매각 등 규제가 강화되면서 업무는 크게 늘었는데, 리테일을 통해 벌어들일 수 있는 수익은 제한돼 매력적이지 않다.

저축은행은 그러라고 만들어진 금융기관이다. 그래서 저축은행을 지역·서민금융기관으로 부른다. 물론 저축은행도 돈을 벌어야 하고, 효율성 차원에서 비용 관리도 해야 한다.

하지만 서민금융을 외면하는 저축은행이라면 금융소비자들도 외면할 수 있다. 저축은행은 사기업인데도 서민금융기관으로 부르고, 금융공공성을 강조하는 이유를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조은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