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하수구’-‘탄광촌’으로 이동…‘강력 대출 조이기’의 풍선효과 ‘꿈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630010015861

글자크기

닫기

이철현 기자

승인 : 2025. 07. 01. 13:18

시장 혼란 지속 수도권 전역 확산
추가 규제지역 확대 나올 가능성
(사진)하남시, 미사호수공원 계단광장에 조형쉐이드 추가…쉼터 환경 개선
하남시 미사호수공원에 위치한 아파트. /하남시
#1. 직장인 김모씨는 지난 주말 매수할 집을 알아보기 위해 약속을 잡았던 부동산중개업소 방문을 돌연 취소했다. 더 이상 대출이 나오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김씨는 "여유를 갖고 이사할 집을 알아 보려고 했는데 못 살 것 같다"며 "지금은 별다른 방법이 없으니 시간을 더 가져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2. 또 다른 직장인 최모씨도 연말 결혼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대출 문제로 머리가 복잡해졌다. 정부가 생애 최초·신혼부부 디딤돌 대출 한도를 축소하면서 내 집 마련 계획에 차질이 빚어져서다. 최씨는 "자금 마련이 어려워 전세를 알아봐야 할 것 같다"며 "여의치 않으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도 고려해야 하지 않겠냐"고 반문한 뒤 한숨을 내쉬었다.

정부가 지난 28일 유례 없는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시행하면서 서울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의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당장 서울 고가 아파트와 다주택자들의 거래의 경우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번 대출 규제가 서울 외곽, 경기도, 인천의 거래와 매매가격 급등 등의 풍선효과가 나올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30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이번 부동산 대출 규제로 인해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등 서울 외곽지역과 하수구(경기 하남, 용인 수지구, 성남 수정·중원구), 탄광촌(화성 동탄, 경기 광명, 안양 평촌)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 지역은 최근 집값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6월 4주 아파트가격 동향'을 보면 서울에 비해 다소 상승 폭이 낮은 수치를 보이긴 하지만 꾸준하게 오르고 있다. 특히 수지구의 경우 올해 1월부터 이달 23일까지 2.68%의 매매가격 상승률을 보이고 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에 기록했던 -0.62% 대비 무려 3.02% 급등한 상황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정부가 이번 대출 규제에 이어 추가로 규제지역 확대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정부가 이르면 내주 주거정책심의위원회(주정심) 열어 서울 마포·성동·강동·영등포·양천·동작·광진구, 경기 성남·과천·안양·용인시 등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을 한꺼번에 규제 대상으로 묶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추가 규제지역이 더 나올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대한 풍선효과도 그 만큼 커질 것이고 결국 수도권 모든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집값 상승 속도도 매우 빠를 것이어서 단시간에 집을 사야 하는 또 다른 부담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철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