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北해커 4명, 美IT기업 위장취업·가상자산 탈취…‘노트북 농장’ 29곳 운영하기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1010000714

글자크기

닫기

한대의 기자

승인 : 2025. 07. 01. 16:28

美법무부, 북한인 4명 기소…위장 취업으로 美기업 가상자산 탈취
16개주에서 노트북 농장 29곳 압수 자금세탁 계좌 29개 등 동결
USA-CYBER/NORTHKOREA <YONHAP NO-1912> (via REUTERS)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 연방수사국(FBI)이 공개한 지명수배 전단에 등장한 북한 국적자 4명 김광진, 강태복, 정봉주, 장남일. 이들은 총 5건의 전신사기 및 자금세탁 혐의로 기소되었다./로이터·연합
북한 해커들이 미국 내 IT기업에 위장 취업한 뒤 '노트북 농장'을 만들어 원격 접속으로 가상자산 탈취 등 불법 활동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법무부는 북한인임을 감추고 '재택 근무' 조건으로 취업해 미국 기업이 관리하는 가상화폐 자산을 횡령·세탁한 혐으로 4명의 북한 해커를 기소했다.

ABC뉴스 등 미국 매체들에 따르면, 30일(현지시간) 법무부는 미국 정보기술(IT) 기업에 위장 취업한 북한 해커 4명이 조직적으로 불법 활동을 해왔다고 밝혔다.

북한 해커 4명의 이름은 김광진, 강태복, 정봉주, 장남일로 알려졌으며, 이들에 대한 기소와 조사는 조지아주 북부지검과 FBI 애틀란타 지부가 담당했다. 다만, 이들은 미국 내에 거주하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들은 AI·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해 포춘 500대 기업, 방위산업체 등 100여 개 기업에 취업했고, 최소 500만 달러 이상을 가상자산을 북한에 송금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기업에서는 국제무기거래규정(ITAR)에 해당하는 군사 기술 유출 정황도 확인됐다.

이번 조사에서 법무부는 애틀란타주를 포함한 16개 주에 걸쳐 29곳의 노트북 공장을 발견했으며, 불법자금 세탁에 사용된 계좌 29개와 불법 웹사이트 21곳 동결, 200대의 노트북을 압수했다.

법무부는 이 사건과 관련해 이들을 도운 혐의를 받는 뉴저지주 거주자 젠싱황을 체포했으며, 중국·대만 국적자 8명도 위장 취업 및 자금 세탁을 도운 혐의로 기소했다.

존 A. 아이젠버그 법무부 국가안보국 차관보는 "이러한 사기는 미국 기업을 표적으로 삼아 제재를 회피하고 북한 정권의 무기 프로그램을 포함한 불법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고안되었다"라고 설명했다.

구글 클라우드 산하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 존 헐트퀴스트 수석 애널리스트는 "북한 IT 인력은 조력자 없이 범죄를 실행하기 어렵다"며 "채용 절차를 철저히 검토하는 조직이라면 위장 취업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대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