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민협의위, 상생발전 방안 완주군민협의회에 전달
|
이날 시대위와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먼저 시대위는 먼저 중앙부처에 지원에 있어 통합에 따른 불이익 방지 및 통합 후 자생력 확보를 위해 지역개발과 관련한 과감한 인센티브 부여를 적극 검토해야한다는 의견을 달았다.
여기에 통합 후 중앙부처의 과감한 인센티브 부여와 각종 지원책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함께 첨부했다.
또 통합도시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는 도시 지위 및 체계 구축을 위한 각종 지원책도 검토가 필요하다고도 설명했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전북특별자치도 김관영 지사가 시대위에 '완주-전주 통합' 이후 특례시 지정을 추진해 도지사의 권한을 과감하게 특례시장에 위임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여기에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 자문위원회도 발맞춰 지난해 12월 특례시는 권역 전체의 성장을 이끄는 거점 기능을 수행할 필요로 비수도권에도 특례시 일부 유지와 특례시 기준 인구를 100만명에서 50만명으로 낮추는 것을 고려해야한다고 권고했다.
또 이와관련해 이날 '완주·전주 상생발전 전주시민협의위원회'는 12개 분야 107개 상생발전 방안을 완주군민협의회에 전달했다.
주요 상생발전 방안은 △ 완주에 통합 시청사·시의회 청사 건립 및 행정복합타운 조성 △ 주민 동의 없는 혐오·기피시설의 완주 이전 불가 △ 완주-전주간 주요 도로 확장 △ 군 지역 공공택지 기존 군민에게 우선 청약권 부여 △ 농업예산 연평균 증가율 이상 증액 및 10년간 1천억원 규모의 농업 발전기금 조성 등이다.
또 △ 통합시 보건소의 본소 기능 완주군 배치 △ 보건지소·진료소 유지 및 확대 △ 봉동 지식산업센터 설립 △ 완주에 대규모 국가산단 조성 및 대기업 유치 등도 포함됐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지방시대위원회가 다양한 분석을 통해 완주·전주 통합으로 지역발전에 서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 만큼, 양 지역 간 상생발전을 위한 진지한 대화의 장이 조속히 마련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