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평균 550만원 구매력 상실
소비 주도 미국 경제에 타격 예상
JP모건, 4분기 미 GDP 0.3%↓전망
|
미 증시가 폭락하면서 이틀 새 약 6조 달러(약 8769조원) 규모의 자산 가치가 증발했다. 뒤따라 실물경제가 침체에 빠질지는 불투명하지만 리스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예고된대로 9일 상호관세가 발효될 경우 증시는 한번 더 요동칠 가능성이 있다.
미국 경제는 3월까지 비농업 부문 고용은 22만8000명 증가했고, 실업률은 4.2%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임금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해고도 드물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이라 부른 지난 2일 거의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대규모 관세를 발표한 뒤 미국 증시는 2020년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고, S&P 500 지수는 4.8% 급락했다. 이어 지난 4일 중국이 미국산 모든 제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S&P 500 지수는 추가로 6% 더 하락했다.
캐나다 역시 미국산 자동차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미국이 관세장벽을 세우고 각국이 이에 맞서면서 보호무역주의가 도미노처럼 확산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JP모건은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을 기존 40%에서 60%로 상향 조정하고, 미국의 2025년 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0.3%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이전의 1.3% 성장 전망에서 대폭 하향된 수치다.
그러나 노무라증권은 GDP가 2분기 연속 감소하는 공식적인 경기 침체 단계인지 여부를 판단할 만큼 충분한 데이터는 없다고 밝혔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47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을 주도하며 전 세계에 자유무역을 확산했던 미국이 보호무역으로 급변하면서 세계 경제의 성장 둔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 부과로 해외로 이전된 미국 일자리를 되돌릴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관세는 먼저 미국 GDP의 70%를 차지하는 핵심 동력인 가계 소비를 약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진보 성향의 예일대 예산연구소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4월2일 발표한 관세는 미국의 평균 실질 관세율을 2024년의 2.5%에서 약 22.5%로 끌어올릴 전망이다. 2~3월에 이미 단행된 관세 조치들과 합쳐지면 단기적으로 물가는 2.3% 상승하게 되고, 이럴 경우 평균 가구 기준으로 약 3800달러(약 555만원)의 구매력을 잃게 된다. 이로 인해 2025년 4분기 GDP 성장률은 약 0.9%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고 월스트리저널(WSJ)은 전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소셜미디어를 통해 "내 정책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고 밝혀 협상 의사가 없음을 내비쳤다. 하지만 불과 며칠 후인 4일 베트남이 관세를 철폐하겠다는 제안을 했다고 주장하며 거래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에 베트남에서 제품을 조달하는 나이키의 주가가 상승했다.
이처럼 상반된 메시지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 결정을 망설이게 만들어, 총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제학자들은 지적했다.
최근에는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 효율부(DOGE)'가 연방 공무원 수를 감축하고 계약을 중단하고 있는 가운데 공화당은 세금 감면과 재정 적자 축소라는 상반된 목표 사이에서 갈팡질팡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