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인상요구 땐 무시 못할 듯
우에다 "관세, 경제에 하방 압력"
|
일본측 협상대표인 아카자와 료세이(赤澤亮正) 경제재생상은 지난 17일 미·일 1차 협상을 마친 뒤 기자회견을 통해 2차 협상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일 재무상이 환율문제를 다루기로 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이 통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추고 있다고 비판해왔으며, 대일 협상을 주도하는 베선트 장관은 지난 9일 최근의 엔고 흐름에 대해 "자연스러운 흐름"이라며 일본 경제의 강세와 금리 인상 방침을 그 배경으로 언급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요구는 양국의 금리 차를 좁혀 무역 적자를 억제할 수 있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일본은행이 금리 인상을 압박받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에 대해 일본은행 내부에서는 "미국이 인상을 요구할 경우 어떻게 판단해야 할지 어렵다. (정부도) 무시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신중한 반응이 나온다고 니혼게이자이 신문(닛케이)이 20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일본은행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미국이 강달러 시정을 위해 일본의 금리 인상을 지렛대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크다. 일본은행은 오는 4월30일~5월1일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관세 영향을 반영한 경제 및 물가 전망을 제시할 방침이다.
일본은행은 5월 회의에서 금리 인상에는 나서지 않고 당분간 상황을 지켜볼 가능성이 크며 내부에서는 "지금은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행 내부에는 "미국의 요청이 있더라도 물가를 고려하지 않은 인상 설명은 설득력이 없다", "해외 요구에 따라 금리를 인상했다는 논리는 성립하지 않는다"며 경계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재무성 고위 관계자도 "관세로 경기가 악화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은 어렵지 않겠느냐"는 견해를 밝혔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일본은행은 앞선 전망 리포트까지 2026년도의 물가 상승률이 2% 근처에 수렴할 것으로 보고 있었고, 실질 GDP(국내총생산) 증가율은 1%로,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견조한 경제를 예상했었다.
하지만 이러한 시나리오도 미·일 관세 협상으로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 일본은행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관세가 경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으며, 이에 따라 2025년도 이후의 경제 성장률이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