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표시 검토는 했지만 시행하지 않을 것"
|
로이터·AP·AFP는 트럼프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오전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에게 전화해 아마존의 가격 표시 정책에 직접 항의했다고 보도했다.
이날 미국 매체 펀치볼 뉴스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아마존이 상품 가격 옆에 관세 비용을 표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가 보도된 후 트럼프 행정부는 즉각 비판에 나섰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며 "조 바이든 행정부가 40년간 최고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기록했을 때는 왜 동일한 조치를 하지 않았나"고 지적했다.
그는 아마존이 중국 선전 기관과 협력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연설과 글이 수록된 책 리뷰를 검열했다는 2021년 로이터 보도까지 보여주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이에 아마존은 "별도 플랫폼인 아마존 홀(Amazon Haul)이 특정 제품에 관세를 표기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승인되지 않았고 앞으로도 시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마존의 성명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베이조스가 문제를 매우 신속하게 해결했고 옳은 일을 했다"며 그에 대해 "아주 훌륭하고 대단하다"고 평가했다.
|
주 경쟁사인 테무와 쉬인은 "글로벌 무역 규칙과 관세 변화로 인해 운용 비용이 증가했다"는 공지와 함께 이달 25일 가격 조정에 들어갔다.
테무는 약 145%의 수입 수수료를 별도로 부과하기 시작했고 쉬인은 "관세는 결제한 가격에 포함되기 때문에 배송 시 추가 요금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는 배너를 추가했다.
튤레인 대학교의 롭 랄카 경영학 교수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응 방식에 대해 "기업이 고객 불만의 책임을 다른 곳에 돌리는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며 "관세가 주목받고 있지만 기업들은 항상 우리가 구매하는 물건의 추가 비용을 항목별로 표시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 호텔의 거주세, 우버의 지역별 요금, 아마존 주별 판매세가 이와 동일한 방식이라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90일간의 유예기간을 선언하며 모든 수입품에 1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보복 관세를 시행한 중국에는 145%에 달하는 관세를 징수하고 있다.
한편 미국 물류업체 UPS는 아마존 매출 감소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2만개 일자리를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