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는 중국이 만남 원해 강조
곧 회담 열릴 가능성 농후
|
실제로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일 "최근 미국 측이 여러 차례 중국 측과 경제 및 무역 문제에 대해 협상 중일 뿐 아니라 합의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그런데 이에 대한 추가 소식과 논평이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미국 고위 인사의 관련 발언에 주목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측은 최근 관련 부서를 통해 여러 차례 중국 측에 적극적으로 메시지를 보내와 중국과 대화하기를 희망했다"면서 "이에 대해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영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계열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인 위위안탄톈(玉淵譚天)은 전날 소식통을 인용, 미국 측이 최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중국 측에 적극적으로 접촉해 협상을 희망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고 전한 바 있다. 상무부 대변인의 발언은 한마디로 이를 공식 확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대변인은 이외에도 대화의 문은 열려 있으나 중국은 싸운다면 끝까지 맞설 것이라면서 무역전쟁은 미국이 시작한 만큼 먼저 성의를 보여야 한다는 기존 입장 역시 재확인했다. "미국 측이 대화하고 싶다면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고 일방적인 관세 부과를 철회하는 등 성의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특히 "중국이 강조하고 싶은 것은 모든 대화나 회담에서 미국 측이 잘못된 일방적 관세 조치를 수정하지 않는다면 이는 미국이 전혀 성의가 없는 것이다. 양측의 상호 신뢰를 더욱 훼손할 것이라는 점"이라고도 주장했다. 그러면서"말과 행동이 다른 것은 안 된다. 심지어 대화를 구실로 강압과 협박을 시도하는 것은 중국에는 통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지난 1일(현지 시간) 폭스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무역 갈등과 관련해 중국과 물밑 협상이 진행되고 있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중국 측이) 접근하고 있다. 그들은 (미국을) 만나고, 회담하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또 중국의 요구에 응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우리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그런 노력에 참여하고 있다. 곧 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은 현재 거의 단절된 상태에 있다고 단언해도 좋다. 그러나 곧 협상이 이뤄질 경우 이 상태는 조속하게 해결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