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스원 범죄예방연구소는 18일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3년간 고객처 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도난범죄 동향'을 발표했다.
분석 결과 △전체 도난범죄 38.4% 범행 도중 포기 △소액의 현금 노리는 생계형 범죄 기승 △심야 시간대 범죄율 증가 등의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난범죄 중 범행을 시도하다 포기한'미수 사건'이 전체의 38.4%에 달했다. 범행을 중단한 주요 원인으로는 현장에 설치된 CCTV 확인, 보안업체 직원의 출동 등 보안솔루션이 작동해 범인들이 도주한 사례가 대다수였다. 실제 피해가 발생한 도난범죄를 분석한 결과 피해 금액 100만원 미만의 소액 절도가 전체의 81.8%에 달했다. 절도 대상의 79.8%는 현금이었으며 담배와 식료품 등도 주요 표적이 됐다.
도난범죄 발생 시간대를 분석한 결과 심야 시간대인 자정에서 오전 6시에 발생한 사건이 전체의 70.6%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오후 6~24시(19.9%) △오전 6~12시(6.7%) △12~오후 6시(2.8%)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야 시간대에 발생한 현금 도난 사건은 전체의 72.9%에 달했다. 무인점포 도난범죄의 81.8%가 인적이 드문 자정에서 오전 6시에 집중됐으며 키오스크나 동전교환기를 강제로 열어 현금을 절취하는 수법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에스원 관계자는 "범죄로부터의 피해를 예방하고 안전한 일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적재적소에 맞춤형 보안솔루션을 설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