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서울, 최근 5년간 아파트 착공 최저…입주 물량 경고등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2010001175

글자크기

닫기

정아름 기자

승인 : 2025. 07. 02. 11:18

착공
서울이 최근 5년간 전국에서 아파트 착공이 가장 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토교통 통계누리 주택건설실적(착공)에 따르면 2024년 6월 ~2025년 5월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서울 아파트 착공실적이 2만729가구로 가장 낮았다. 해당 지역 기준으로 지난 5년(2020년 6월 ~ 2025년 5월) 중 최저 착공 실적을 기록한 곳은 전국에서 7곳으로 조사됐다.

서울은 아파트 착공 물량이 최근 5년과 견줘 대폭 내려갔다.

서울의 과거 착공 실적은 △2020년 6월 ~ 2021년 5월(3만2179가구) △2021년 5월 ~ 2022년 4월(5만2972가구) △2022년 6월 ~ 2023년 5월(3만6468가구) △2023년 6월 ~ 2024년 5월(2만3107가구) 등이었다.

강원도 최근 1년간 아파트 착공실적이 급감했다. 강원의 2024년 6월~2025년 5월 아파트 착공실적은 5459가구로, 지난 5년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특히 전년(9191가구) 대비 40.6% 줄어들었으며, 지난 5년간 대부분 9000여 가구 수준을 유지해왔던 것과 비교하면 착공실적 감소 폭이 매우 컸다.

이외에도 △경북(4033가구) △전북(5767가구) △전남(5396가구) △울산(4590가구) △광주(826가구) 등 지역의 착공실적 역시 지난 5년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가 오르면서 아파트 착공 실적이 저조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발표한 5월(잠정) 건설공사비 지수는 131.01포인트로, 2020년(100 기준) 대비 30% 이상 올랐다.

공사비 상승으로 시공사, 지자체, 조합 간 갈등을 불러오면서 정비 사업이 지연되고 결국 착공 실적에도 악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아파트 착공실적 감소는 2~3년 뒤 입주 물량이 줄어든다는 뜻"이라며 "공급 감소에 따른 집값 급등이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정아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