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탄력받는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 전문가 “균형잡힌 에너지믹스 필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4010002402

글자크기

닫기

정순영 기자

승인 : 2025. 07. 03. 18:03

李, 취임30일 기자회견서 투자 재확인
2030년까지 서해안 전력망 구축 계획
"혁신 요금제로 전력망 안정화"지적도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30일 기자회견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업의 투자 의지를 재차 밝히면서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사업이 탄력을 받을지 주목되고 있다. 적절한 에너지믹스 정책과 함께 재생에너지의 효율적인 전력시장 진입이 관건이라는 전망이다.

취임 한 달을 맞은 이 대통령은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자회견 모두발언을 통해 민생 안정과 성장을 축으로 하는 향후 5년 국정 비전을 제시했다. 특히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 마련을 위해 에너지 고속도로를 비롯한 재생에너지 관련 산업들의 미래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성장이 최우선 과제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날 이 대통령의 발언은 단순 국정 보고를 넘어 재생에너지 분야가 국가의 중요한 미래 산업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종의 신호탄이라는 분석이다. 재생에너지 사업과 에너지 고속도로, 첨단기술 선진화로 이어지는 국정 구상을 향후 재생에너지 업계와 정책기관 간의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하는 분기점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에너지 고속도로는 서해안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생산지역 전력을 수도권·산업지대 등 수요지로 안정 공급하는 국가 에너지 인프라 구축 사업이다. 2030년까지 서해안 전력망을 우선 구축하고 2040년까지 전국 확장을 목표로 전국 수요처와 주요 산업단지를 고압직류송전(HVDC)으로 연결하고 미래분산형 전력 체계를 구현하는 것이 사업의 핵심이다. 그러나 야심찬 정부 기조와는 별개로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은 엄청난 예산과 인허가 절차, 지역사회 반발이라는 숙제들을 안고 있다.

HVDC의 경우 대규모 변환소와 핵심 장비를 해외 기업 기술에 의존하고 있고, 재사용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잇단 사고로 기술 신뢰도가 낮아진 상태다. 또 사업 현실화를 위해서는 전국 전력망 구축에 약 100조원 이상이 필요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전은 2038년까지의 전력망 구축에만 72조800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아직 정부는 구체적인 재원 조달 방식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인공지능(AI) 등 고전력 기반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태양광·풍력 중심의 재생에너지의 안정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전문가들은 보다 균형 잡힌 에너지믹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AI 산업은 전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핵심인데 재생에너지로는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정윤 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율 21% 달성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서 호남지역의 신규 재생에너지 공급 중단 문제나 독점으로 유지되고 있는 한전의 공급망 문제와 같은 산적한 현안의 해결이 최우선"이라고 전했다.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은 "AI와 혁신 요금제를 통해 재생 에너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전력 시장에 흡수를 하면서 동시에 전력망을 안정시키고 소비자 요금도 최소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순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