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이진숙 “제1저자는 당연” 野 “지나친 욕심” (종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6010009293

글자크기

닫기

이체리 기자

승인 : 2025. 07. 16. 13:42

이진숙 '자녀 유학비' 자료제출 거부에 野, 고발 예고
고개 숙인 이진숙 후보자<YONHAP NO-2459>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녀 조기 유학 관련 질의에 답한 뒤 고개를 숙이고 있다. /연합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16일 교수와 학생의 공동연구 논문에서 이 후보자의 이름이 '제1저자'로 표기된 것에 대해 "제가 제1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일축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한국 교육의 문제점이 본인의 삶이다"라며 자진사퇴를 압박하는 등 집중 공세를 펼쳤다.

이 후보자는 이날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대부분의 연구가 학생이 학위논문을 하기 전에 제가 국가 연구 프로젝트를 수주해서 연구 책임자로 수행한 연구다"라며 "그것을 제자가 발전시켜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져간 것이기 때문에 표가 같을 수 밖에 없다"고 이같이 밝혔다.

이에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이 '그렇다면 본인이 직접 실험을 하셨냐'고 묻자 이 후보자는 "네"라면서도 "기계적인 실험을 하는 것까지는 제가 입회도 많이 했지만 그 과정은 학생들이 주로 수행을 했다"고 말했다.

또 김 의원이 '학생이 수행했다고 하는 것은 그 연구의 주체가 학생아닌가'라고 질문을 던지자 "아니다"라며 "학생들이 연구노트를 쓰고 저는 수첩에 다 저장해 기록하고 있다"고 이 후보자는 답했다.

김 의원은 "제1저자는 일반적으로 실험을 주도한 분이 되는 것이고 교수님은 '교신저자'로 들어가야 되는데 '왜 모든 논문에 있어 후보님이 1저자로 들어갔느냐'가 문제의 핵심"이라며 "공동연구가 문제가 아니라 후보님이 1저자가 되거나 아니면 그 학생의 학위 논문이 취소돼야 하거나, 그 둘 중의 하나여야 한다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본인이 1저자를 하는 것은 지나친 욕심을 낸 것이고 어떻게 보면 연구윤리에 맞지 않다"고 부연했다.

김대식 의원은 "범학계 국민 검증단이 발표한 '카피킬러'를 활용한 이 후보자의 표절율이 52~56%에 달한다"며 "특히 제자들의 학위 논문을 오탈자 하나 수정하지 않고 베꼈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 후보자는 "카피킬러 결과물을 봤지만, 사실과 다르다"며 "카피킬러는 모든 전문가가 지적하고 있지만, 돌려서 나오는 건 신뢰할 수 없다. 전문가가 하나씩 제외하면서 정확하게 돌려야 진정한 유사율이 나오는 게 정상이다. 언론에 보고된 것은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결론이다"라고 해명했다.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은 이 후보자의 '자녀 조기 유학' 논란과 관련해서 "대한민국은 선택의 자유가 있기 때문에 본인이 어떤 선택을 하셨고 본인 돈·자산으로 하시는 것은 괜찮다"면서도 "공교육의 수장이 될 때는 다른 얘기"라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이 후보자의 자녀 두 명이 다닌 마데이라 학교의 학비를 합치면 6억 2000만 원이 된다면서 "2025년 2인 가족 기준 대한민국 중위소득은 3600만 원인데 당시 2006년 기준 국립대 교수 연봉을 기준으로 후보자의 연봉은 1억 3000만 원이었다"며 "당시 기준으로 자녀의 1년 유학 소요 비용은 1억 2000만 원이다. 본인과 부부는 무슨 돈으로 살았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교육부의 답변을 보니까 두 딸의 학사과정과 학비, 생활비, 석사까지 지원했다고 했는데 그러면 추정컨대 10~15억 원 정도의 고등학교·대학교 학비를 지원하셨을 것"이라며 "이 교육격차 시대를 살아가는 많은 서민들이 이 후보자님 외 그 어느 누 이러한 교육을 '나의 자녀'에게 제공할 수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특히 "후보자는 공교육을 선택하지 않았다"며 "후보자야말로 최고의 사교육으로 대표되는 '조기유학'을 선택하신 분이다. 자녀의 선택이라고 그런식으로 변명하시 마시라. 그러면 부모 자격이 없는 것이다. 부모가 미성년 자녀를 책임지는 것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후보자는 '부의 세습'을 이뤘다"며 "후보자는 2023년 이자 수입이 2800만 원이다. 대한민국의 부의 세습을 완벽하게 이룬 이 후보자는 공교육을 말할 자격이 없다. 사퇴해 주실 것을 요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이 후보자는 "아이들이 희망해서 유학을 보내게 됐고 둘 다 딸이기 때문에 방법이 없이 기숙학교를 찾게 됐다"며 "지금 위원님께서 제시한 학비중 2분의 1가격으로 저는 2006년에 보낸 것으로 기억한다. 정확하지는 않다"고 해명했다.

이어 "저희 부부 둘 다 교수 생활 성실히 했다"며 "다른 재산 하나도 없이 오직 저축이고 주식을 산 적도 없고 집도 몇 채씩 산 것도 없다. 그냥 성실하게 교수해서 아이들 가르치고 저축하고 그렇게 살아왔다"고 호소했다.

이날 이 후보자는 두 자녀에 대한 유학 비용 지급 내용이 담긴 자료를 제출하지 않아 이에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고발하겠다고 예고하기도 했다. 조 의원은 "미성년자의 개인정보라며 자료제출을 거부했는데, 오전까지 제출하지 않는다면 고발하겠다"며 "저희가 요청한 자료가 유학비 지급내용, 기숙사비, 생활비 등 자료제출인데 이건 미성년자인 학생 아이들의 개인정보가 아니라고 저는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자료제출 여부를 두고 갈등이 끊이지 않자 김영호 교육위원장이 정회를 선포하기 전 이 후보자에 자료제출을 요구했다.
이체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