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르포] 외국인 관광객 매년 느는 전쟁기념관…과거 참상 통해 현재를 마주한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1010004882

글자크기

닫기

김수연 인턴 기자 | 지환혁 기자

승인 : 2025. 08. 11. 12:25

올 상반기만 30만7954명 방문…전체 관람객 1/4이 외국인
6·25전쟁은 전세계가 함께 겪은 역사임을 보여줘
clip20250811085645
10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을 찾은 한 외국인 관람객이 6·25전시실Ⅲ(유엔실)에 전시된 참전용사들의 물품들을 보고 있다. /김수연 인턴기자
그리스에서 온 조지 코스타스씨는 지난 10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3층에 마련된 6·25 전시실Ⅲ(유엔실)에서 유엔군 참전국의 군복과 장비를 뚫어져라 살피고 열심히 휴대전화로 사진을 찍었다. "제 삼촌은 6·25 전쟁 전사자입니다." 코스타스씨는 한국 땅에서 전사한 삼촌의 흔적을 따라 전쟁기념관을 찾은 것이다. 코스타스씨는 "그리스군으로 6·25전쟁에 참전했던 삼촌에 대해 가족들에게 들었던 이야기와 6·25 전쟁의 참상을 한국 땅에서 직접 보니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감정이 밀려왔다"고 말했다.

전쟁기념관을 찾는 외국인들이 매년 늘고 있다. 6·25전쟁의 아픔과 기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전쟁기념관은 한국인만의 공간이 아닌, 외국인들의 관광 필수 코스로 자리잡고 있다.

전쟁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전쟁기념관을 찾은 외국인 관람객은 2023년 37만명, 2024년 48만명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올해도 상반기에만 외국인 관람객 수는 30만7954명에 달한다. 전체 관람객 중 외국인 비중이 4분의1 가량을 차지한다.

이날도 전쟁기념관에서 많은 외국인 관람객을 만날 수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SNS를 통해 전쟁기념관 정보를 얻어 방문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외국인 관람객들에게 전쟁기념관에서 6·25 전쟁 당시 한국을 지원했던 유엔군 관련 전시물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전쟁기념관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전쟁무기박물관이다. 특히 유엔군 22개국(전투부대 지원 12개국, 의료지원 6개국) 참전용사들을 위한 추모 시설까지 마련돼 있다. 6·25 참전국 국민이든 아니든 이곳을 방문한 사람이라면 가슴 벅찬 감동을 느낄 수 있다.

clip20250811102107
외국인 관람객들이 10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6·25전시실Ⅲ에서 한국의 발전 과정을 보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김수연 인턴기자
전쟁기념관은 이곳을 찾은 외국인 관람객들에게 한국의 과거를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는다. 6·25 전쟁이 전 세계가 함께 겪은 역사임을 보여주고 있다. 전쟁기념사업회 관계자는 "K-컬쳐의 확산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을 처음 접하게 되는 것은 남북 관련 보도"라며 "아직 전쟁이 끝나지 않은 국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속 성장을 이룬 국가라는 사실이 독특하게 받아들여지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75년 전 과거의 전쟁을 보던 외국인 관람객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비롯해 최근 각지에서 발발하는 전쟁을 빗대어 생각하기도 했다. 가족과 함께 전쟁기념관을 방문한 안드레 호프만씨(독일)는 "전쟁이 과거의 일이 아님을 실감했다"고 했다. 호프만씨는 "전쟁이 과거의 일이 아님을 느꼈다. 내 아이가 당장 내일이라도 전쟁터에 나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전쟁의 참상을 드러낸 일부 잔혹한 사진에 놀랐지만 전쟁의 현실을 외면해선 안 된다"고 했다.

분단을 경험했던 독일 출신인 호프만씨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란-이스라엘 전쟁 등 세계 각지에서 발생한 전쟁을 언급하며 "과거 전쟁은 국제적 개입이 활발했지만, 최근에는 방관하는 경우가 많다"며 "전쟁이 두 나라의 일처럼 취급되는 분위기"라고 안타까워했다.

전쟁기념사업회 관계자는 "전쟁기념관이 단순히 6·25 전쟁을 기록하는 공간을 넘어 전세계인이 '자유'를 이야기하는 공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수연 인턴 기자
지환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