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공공주도형 4곳 선정…민간사업자, 기준 미달로 고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1010000269

글자크기

닫기

장예림 기자

승인 : 2025. 09. 01. 12:45

20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발표
한국해상풍력·동서발전·남부발전·한전기술 등 선정
명운산업개발·CIP 등 일반형 입찰은 패찰
"안보·공급망 기준점 하회한 탓"
clip20250901112359
한국해상풍력이 추진하는 서남권 해상풍력 개발사업 조감도./한국해상풍력
정부가 에너지 안보·공급망 평가를 강화한 가운데, 올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에서 일반형 입찰에 참여한 2개 민간사업자가 모두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반면 한국전력 등 공기업이 참여한 공공주도형 입찰시장은 일제히 낙찰받으면서 희비가 갈렸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올해 처음 신설된 고정식 해상풍력 공공주도형 입찰용량 689메가와트(㎿)가 낙찰됐다고 밝혔다. 이날 한국에너지공단은 입찰 결과를 확정해 입찰 사업자에게 개별통보했다.

이번에 처음 시행된 공공주도형 입찰시장은 500㎿ 내외로 공고됐으며, 689㎿(4개소)가 입찰에 참여해 모두 선정됐다. 낙찰자로 선정된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서남권 해상풍력 시범사업(한국해상풍력, 400㎿) △한동·평대 해상풍력(한국동서발전·제주에너지공사, 100㎿) △다대포 해상풍력(한국남부발전·코리오제너레이션, 99㎿) △압해해상풍력(한전기술·현대건설·CGO, 80㎿) 등이다. 여기서 한국해상풍력은 한전과 한수원 등 6개 발전 자회사가 공동출자한 기업(SPC)이다.

반면 일반형 입찰에 참여한 2개 프로젝트(844㎿)는 모두 선정되지 않았다. 2개 프로젝트는 명운산업개발의 한빛해상풍력과 CIP의 해송3해상풍력으로, 이번에 패찰한 데에는 정부에서 강조한 안보와 공급망 기준점을 하회했다는 설명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국내 공급망과 경제산업에 기여하는 점수가 미흡했다. 전력계통 부문에서도 미흡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반형 입찰 사업자들이 국내 공급망과 국내 경제산업 기여도 등 부문 기준을 많이 하회했다"고 말했다.

일반형 입찰시장의 문턱을 넘은 단 한 개의 사업자도 나오지 않은 것은 예견된 수순이었다는 평가다. 이로써 '안보와 공급망'을 우선시하는 정부의 입장이 재차 시장에 신호를 줬다는 해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일반형과 공공주도형 경쟁입찰 사업자로 구분되는 지점은 1차 평가 이후 2차 평가 시점"이라며 "1차 평가를 넘어야 공공주도형인지 일반형인지를 나누어서 보게 되는데, 아무래도 일반형 입찰 사업자들이 전부 탈락한 것은 1차 평가부터 통과하지를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1차 평가 점수 자체를 충족시키지를 못한건데, 공공주도형 입찰 참여 사업자들만 낙찰된 것처럼 오해할 수 있다. 정부에서 안보와 공급망, 국내 산업기여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에서는 에너지 안보와 공급망을 강조해 왔다. 정부는 지난해 8월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 올해 3월에는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추진방안' 등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안보 평가지표를 신설하는 한편, 공공주도형 입찰시장도 별도로 개설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부는 새정부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의 핵심 이행 분야로서 풍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후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 전략, 차기 풍력 경쟁입찰 로드맵 등 주요 정책을 준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상반기 입찰 미선정 용량분에 대해서는 향후 입찰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하반기 및 차년도 이후 경쟁입찰 공고를 지속 진행할 방침이다. 특히 하반기 공고는 풍력사업자 등 이해관계자와의 간담회 및 경쟁입찰 설명회 등 현장 의견을 반영해 경쟁입찰 제도개선을 거쳐 추진할 예정이다.
장예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