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무탄소경영①] 제조업 강국 대한민국… ‘CFE’에서 미래 찾는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30815010007417

글자크기

닫기

최원영 기자

승인 : 2023. 08. 16. 06:00

태양광·풍력보다 안정적 전력 공급
韓, 원전·수소 인프라 갖춰 경쟁력↑
정부, CFE 포럼 본격 조직화 나서
현실적 방안 모색·국제적 확산 과제
basic_2021
'그린 택소노미'라는 게 있다. 녹색 산업을 뜻하는 그린(Green)과 분류학을 뜻하는 택소노미(Taxonomy)의 합성어로, 어떤 산업이나 에너지원이 친환경인지를 정의하는 기준이다. 2020년 유럽연합(EU)이 처음 발표하며 주목 받았다. 그럼 원자력 발전은 그린 에너지일까 아닐까. 결론은 조건부 인정이었고, 여기서 우리 정부는 날로 심화하는 글로벌 환경 규제, 요컨대 'RE100' 등으로부터 대한민국 에너지, 나아가 산업계를 구해 낼 희망을 봤다. 태양광과 풍력에 적합하지 않은 지리적 약점에, 전기를 세계에서 8번째로 많이 쓰고 수출을 6번째로 많이 하는 제조업 강국으로서 갈 길은 이미 정해져 있는 것처럼 보였다. 원전과 수소까지 CFE(Carbon Free Energy, 무탄소에너지)로 인정 받는 바로 'CF100'의 추진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6번째로 원전을 수출한 나라이자 국가 단위 수소 인프라를 키워가고 있는 몇 안되는 나라다. 달가울 수 밖에 없다.

다만 갈 길은 여전히 멀다. RE100을 대체 할 국가적 약속으로, 국내를 넘어 전세계적 공감을 얻어야 한다. 구체적 방향과 이행 기준도 정해지지 않았고 기업간 교감과 조율도 아직이다. 이에 아시아투데이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국민의 힘 양금희 의원실과, 국가 최대 에너지산업 연구기관인 에너지경제연구원과 손 잡고 실타래를 풀어 보고자 한다. 오는 8월 28일 국회에서 열리는 제8회 아시아투데이 에너지혁신포럼에서 그 방향성이 구체화 될 전망이다.

KakaoTalk_20230815_175419563
basic_2021
아시아투데이 최원영 기자 = 글로벌 기후환경 규제가 나날이 강화되면서 정부와 기업들 사이에서 국가단위 'CFE' 전략을 빠르게 세워 강하게 드라이브 걸어야 할 골든타임이라는 목소리가 커진다. 환경규제가 각 국의 무역장벽으로 세워지기 전 속도를 높이지 않으면 향후 중장기 투자와 설비운용 방향이 다 틀어질 수 있어서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정부와 민간기업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가칭 'CFE 포럼'이 출범식을 가진 지 만 3개월이 지났다. 그간 힘 있게 끌고 갈 구심축을 세우고 조직화 하는 데 힘을 기울여 온 포럼은 조만간 사단법인화 작업을 완료 하고 본격적인 '그린 그리드(grid)' 구상에 나설 전망이다. 정부에선 산업통상자원부가, 기업을 대표해선 대한상공회의소가 각각 총대를 멘 상태다.

◇글로벌 환경규제 속 韓 CFE포럼 출범
정부와 기업들이 손을 맞잡은 배경은 전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RE100' 이니셔티브를 보완 할 'CF100'에 힘을 싣기 위해서다. 지구를 지키자는 일종의 글로벌 캠페인에 가까운 'RE100'에 가입하면 기업은 2050년까지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100% 사업장을 돌리는 내용의 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중간단계·최소목표 등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이행결과도 매해 보고해 검증받게 된다. 이미 애플·구글·BMW 등 전세계 수백개 기업들이 가입했고 국내에서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기아 등 주요 기업들의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이미 애플 등은 RE100에 가입한 협력사와만 거래를 하겠다는 식의 으름장을 놓은 상태다.
그렇게 기업들의 가입이 줄을 잇던 시점, 2018년 10월 세계적 빅테크 기업 '구글'이 CF100 계획을 발표했다. RE100을 이미 실현하고 있음에도 발표 된 새 계획이다. CF100은 태양광과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에만 국한하지 말고 원자력이나 수소를 비롯해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을 활용, 탄소 배출이 없는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24시간 100% 사업장에 전력을 공급하자는 게 핵심이다. 전세계 데이터센터에서 엄청난 전력을 쓰고 있는 구글이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선 CFE를 도입해야 한다는 게 골자다.

구글만의 고민은 아니었다.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해 전세계 70여개 기업이 줄줄이 'CF100'에 동참에 나서던 지난 5월 16일 마침내 우리 정부가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의가 나서 'CFE 포럼(가칭)'을 출범 시켰고 여기엔 삼성전자·LG에너지솔루션·SK하이닉스·포스코 등 국내 최대 에너지 다소비 기업들이 참여해 머리를 맞대기로 했다.

◇왜 RE100 아닌 CF100인가
한국이 범정부 차원에서 나선 건 태양광과 풍력만으로 사업장에 전력을 대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에 따랐다. 상대적으로 유럽 등지에 비해 일조량 등 환경이 좋지 않고 추진 과정에서 산을 깎아가며 만드는 산비탈의 태양광과 육상 풍력은 자연 훼손 뿐 아니라 산사태 위험까지 동반했다. 대단위 전력단지가 아닌 탓에 계통 연결만으로도 천문학적 비용이 발생했고 태풍 등 수시로 변하는 기상환경은 전력 수급의 예측성을 떨어뜨렸다.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전기를 가장 많이 쓰는 국가 중 하나로, 7~8위를 다투고 있다. 전력 사용의 절반 이상인 54%가 산업용일 정도로 세계가 알아주는 제조 강국이다. 아직 재생에너지 전체 발전량이 우리 산업계를 지탱하지 못하는 상태이고 이행 비용도 미국·중국 등 여타 국가보다 비싸다. 제도가 미비해 해외에서 제대로 인정 받을 수 있을 지도 미지수다. 이미 삼성 등도 해외에선 100% 재생에너지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지만 국내에선 자신하지 못하는 배경이다.

비싼 재생에너지는 수출 6위 우리나라 상품의 가격 경쟁력을 악화 시킬 요소이기도 하다. 실제로 전기를 가장 많이 먹는 산업은 우리나라 수출 경쟁력의 핵심인 반도체와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철강이다. 첨단산업에 필수적으로 탑재되는 반도체는 물론이고 철강 값이 오르면 전방산업은 원가인상 악재를 참아내거나 줄줄이 제품값을 올려야 하는 도미노 현상이 일어난다. 우리 정부와 기업이 RE100 보다 CF100을 외치고 있는 이유다.

◇원전·수소 경쟁력 발판, 'CFE' 강국으로 클까
CF100이 세계적으로 공론화 된다면 한국은 오히려 CFE 강국으로 떠오를 것이란 시각도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여섯번째로 원전을 수출했고 다섯번째로 많은 25기의 원전을 운영 중인 강국이다. 한국형 원전인 한수원의 'APR1400'은 세계적으로 그 효율성과 안전성을 인정 받아 왔다. 기술력을 갖고 있는 소형모듈원전 'SMR' 역시, 기존 원전이 가진 경직성을 보완해 줄 주요 발전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국내 주요 대기업이 다 달려들어 수소 생태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 SK와 포스코·롯데와 한화·효성·현대글로비스 등이 수소 생산과 공급·운송을, 현대차그룹이 핵심인 수소차를 통한 소비와 연관 인프라에 투자하며 중장기 전략을 시행해 나가고 있다. 그렇게 수소 규모의 경제을 일으키면 수소 공급비용도 대폭 낮출 수 있을 전망이다.

정부는 "CFE포럼은 RE100을 보완해 병행 추진하면서 우리 기업의 RE100 이행에 따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해보고 이의 국제적인 확산을 시도하기 위함"이라면서 "원전뿐 아니라 수소와 같은 다양한 무탄소 에너지원도 적극 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최원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