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3067가구로 1위…경북·경남·전남 순
정부의 '악성 미분양' 매입 지원 등 무색
|
정부가 지방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고 세제 혜택을 주는 등 각종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약발이 떨어지는 분위기다.
2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른바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 2월 말 기준 전국 2만3722가구로 조사됐다. 작년 동기(1만1867가구) 대비 2배 증가한 것이다. 전월(2만2872가구)과 비교해도 6.1%(1392가구) 늘었다.
이는 2013년 9월(2만4667가구) 이후 11년 5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다.
특히 전국 악성 미분양의 80.8%는 지방(1만9179가구)에서 나왔다. 건물을 다 짓고도 팔리지 않은 아파트 10채 중 8채는 지방에 있는 셈이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3067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북(2502가구), 경남(2459가구), 전남(2401가구), 부산(2261가구), 제주(1658가구), 충남(1157가구) 등의 순으로 많았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2212가구, 인천 1679가구, 서울 652가구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렇다 보니 부동산 시장뿐 아니라 건설업계에도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아파트 분양 사업은 건설사가 은행에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지은 뒤 수분양자(분양 계약자)에게서 받은 대금으로 이를 갚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미분양 물량이 늘면 건설사들의 자금 조달 게획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이다.
실제 자금난을 버티지 못하고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한 건설사들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올해 들어 대저건설, 제일건설, 대흥건설 등 지방의 대표 건설사들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이에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약 3000가구를 매입하고, 디딤돌 대출 우대금리를 지원하는 등 추가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이런 정책들이 시장에서 실제 효과를 발휘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특히 지방의 경우 적체된 미분양 물량이 워낙 많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