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단독] 대전시, 1.7㎞ 도로 내는데 16년…또 미뤄진 외삼~유성 BRT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3010002128

글자크기

닫기

대전 이진희 기자

승인 : 2025. 07. 03. 14:56

개통 2030년으로 또 연기, 시민들 사업 장기화 불만 폭증
시는 상습 정체 구간 해소 못 하고 예산 부족, 민원 타령만
외삼~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 건설공사 ‘박차’(수시보도)-2
외삼~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 노선도. /대전시
대전시가 2014년 착수한 유성구 외삼네거리~유성복합터미널 BRT(간선급행버스) 연결도로 사업이 오는 2030년 완공을 목표로 다시 연기됐다. 착수부터 따지면 무려 16년이 걸리는 셈이다.

대전시 현안사업으로 대두된 이 사업이 장기화되면서 대전 시민들은 시 행정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이는 시 행정력 부족과 반복된 설계 변경, 관계기관 간 이견 등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시는 3일 브리핑을 통해 "올해 9월 반석역~장대교차로 구간의 임시 개통을 추진하고, 전체 구간은 2030년까지 완전 개통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임시 개통 일정 역시 예산과 행정절차 협의 등을 감안하면 이 또한 불분명하다.

해당 사업은 총 6.6㎞ 구간에 BRT 전용차로를 설치하는 공사로, 기존 도로 개량(4.9㎞)과 신규 도로 신설(1.7㎞)로 구성된다. 공정률은 개량 구간 77%, 신설 구간 80% 수준으로 진척됐지만, 가장 큰 장애물은 복잡하게 얽힌 행정절차와 반복되는 설계 변경이다.

특히 장대교차로 구간은 평면 교차로와 입체 교차로 사이를 오가며 3차례나 계획이 바뀌었고, 호남고속도로 지선 구간 역시 주민 반대로 지하차도 방식으로 변경됐다. 들말마을 고도 조정 문제, 권익위 조정, 민원 반영 등으로 인한 설계 변경도 지속되며 공기 연장의 원인이 됐다.

시행 주체인 대전시와 설계 주체인 행복청 간의 이견도 지연의 배경으로 꼽힌다. 대전시는 교통 흐름을 이유로 BRT 혼용차로나 가로변 차로를 제안한 바 있다. 다만 행복청이 사업 목적에 맞지 않다는 이유로 원안을 고수하는 등 입장 차이 속에서 사업이 표류했다는 지적이다.

협의 부족이 낳은 결과는 고스란히 시민의 불편으로 돌아갔다. 해당 구간은 대전에서 교통 체증이 가장 심한 지역 중 하나다. 장대삼거리, 유성IC, 월드컵네거리 등 주요 병목구간을 포함하는 이 BRT 구간은 출퇴근 시간대마다 극심한 정체를 겪는다. 여기에 올해 말 유성복합터미널이 준공되면 교통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민들이 느끼는 사업 지연의 체감도는 그만큼 클 수밖에 없다.

인근에 거주하는 김모(60) 씨는 "공사가 수년째 지연되면서 주민 불편이 계속되고 있다"며 "행정기관들이 제 역할을 하고 있는 건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사업 지연을 둘러싼 책임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방진영 대전시의원은 지난달 시의회 5분 발언을 통해 "표층 포장, 신호등, 통신·안전시설 등 마무리 공정만 남았는데도 개통이 늦어지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임시 개통을 촉구했다.

반면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들은 지난 2일 기자회견을 통해 "민선7기 시절 벌여 놓고 수습도 못한 사업을 민선8기 들어 바로잡는 과정에 야당이 발목을 잡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진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