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조선중앙통신은 "조선인민군 해외작전부대 참전군인들에 대한 제2차 국가표창 수여식이 29일에 진행됐다"고 전했다.
북한 관영매체들이 지난 22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청사에 '추모의 벽'을 세우고 전사자 초상 101개에 메달을 수여했다고 보도한 지 일주일여 만에 두 번째 추모 행사를 연 것이다.
김 위원장은 "이역의 전장에서 싸우다 쓰러진 우리 군관, 병사들을 다시 일으켜 세워서 데려오지 못한 안타까움, 귀중한 그들의 생을 지켜주지 못한 미안한 마음을 안고 유가족들 모두에게 다시 한번 속죄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영웅들의 유가족 모두를 다시 이렇게 따로 만나 다소나마 위로해드리고 슬픔과 상실감을 덜어드리고 싶은 심정에서, 오늘 이와 같은 자리를 마련하도록 했다"며 "귀중한 그들의 생을 지켜주지 못한 미안한 마음을 안고 유가족들 모두에게 다시 한번 속죄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영웅들이 남기고 간 자녀들을 혁명학원들에 보내여 내가, 국가가, 우리 군대가 전적으로 맡아 책임적으로 잘 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혁명학원은 국가와 사회에 이바지하다가 사망했다는 이른바 혁명가 유자녀를 당 간부 후보로 키우기 위한 특수 교육기관이다.
김 위원장은 평양시 대성구역에 참전군인 유족들을 위한 새 거리를 조성할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새별거리 바로 앞 수목원 명당자리에는 전사자들의 유해를 안치하고 '불멸의 전투위훈 기념비'를 세우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북한 주민들이 보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는 유족들이 전사자의 사진을 품에 안으며 오열하는 모습, 어린 아이들이 아버지의 사진을 쓰다듬으며 훌쩍이는 장면이 담겼다.
한편 국가정보원이 지난 4월 국회에 보고한 내용에 따르면, 북한군 피해는 전사자 600명을 포함해 총 4700명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