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대전시, 지역 언론사 사옥 ‘200억 매입’ 재추진… 특혜 시비 재점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2010010938

글자크기

닫기

대전 이진희 기자

승인 : 2025. 08. 22. 12:57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혈세 낭비·행정 불투명” 강력 비판
796499_417712_40
대전시가 매입을 추진하고 있는 지역 언론사 사옥.
대전시가 지난해 특혜 시비로 무산된 지역 언론사 사옥 매입을 1년 만에 재추진하고 나서 그 배경에 의혹이 커지고 있다.

문제의 지방신문 사옥은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데다 30년 노후 건물이어서 고가에 사들이는 자체가 특혜라는 지적이다.

22일 시에 따르면 최근 해당 건물에 대한 시·청년내일재단·소유주 3자가 복수 감정평가를 진행했다. 그 결과 대전시는 125억원, 청년내일재단 130억원, 소유주 135억원으로 거래 감정평가가 나왔다.

시는 이후 소유주와 매입가 협의를 거쳐 지방재정투자심사, 시의회 공유재산관리계획 승인을 밟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여기에다 리모델링 비용으로 최대 80억원을 투입해 매입·보수비에 약 2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를 놓고 갈마동 일대 중개업자들은 감정평가 가격이 매입가로 이어지진 않더라도 과도하다고 평가했다.

한 공인중개사는 "일반적으로 노후 건물의 경우 값을 쳐주지도 않을뿐더러 지금처럼 부동산 침체기에는 이 가격에 매입하려는 곳은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앞서 지난해 시와 소유주 감정가가 기이하게 일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짜맞추기 감정' 의혹이 커진 바 있다. 올해는 사업 내용 변경 등으로 리모델링 비용이 뛰는 등 총 사업비가 200억원에 달해 특혜 시비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와 관련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는 22일 논평을 통해 "시는 청년정책의 취지와 본질을 뒷전으로 한 언론사 사옥 매입을 즉각 중단하라"면서 "사업 재추진은 시민의 혈세를 낭비하고 행정의 투명성을 훼손하는 결정"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지자체가 특정 언론사 사주의 건물을 매입하는 것은 그 자체로 공정성, 독립성을 훼손하는 위험한 행동"이라며 "언론사와 지자체가 경제적 이해관계를 형성한다면, 언론의 비판 기능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김민숙 대전시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청년 공간은 보이는 곳, 가까운 곳에 있어야 사업자체가 홍보가 되고 청년들이 찾게된다"며 "그런데 현 건물은 잘 보이지 않는 주택가여서 접근성과 효율성과 홍보성 등 모든 면에서 부적합하다"고 말했다.

이어 "다른 후보지 검토나 비교 없이 특정 건물에 끼워 맞추는 방식은 있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기존 인프라 투자·운영을 연속성 있게 확대하는 방식을 택했다"며 "둔산권은 버스·지하철 등 인프라가 이미 갖춰진 거점으로 접근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진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