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 위해 美와 협력…北 도발에는 강력히 대응"
|
이 대통령은 "한국은 한반도의 안보를 지키는 데 있어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앞으로 해 나가겠다"고 하며 미국의 국방비 증액 요구를 받아들이겠다 밝혔다. 미국과 안보 협력을 하고, 중국과는 경제 분야에서 밀착하는 '안미경중'(安美經中) 노선을 "이제는 취할 수 없다"고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초청 강연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날 강연에 앞서 열린 한·미정상회담을 언급하며 "저와 트럼프 대통령은 '국익중심 실용동맹'의 새 지평을 열어가고자 한다"며 국방비 인상, 주한미군 역할 변화 등을 포함한 동맹 현대화에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늘어난 국방비는 우리 군을 21세기 미래전에서 반드시 승리하는 스마트 강군으로 육성하기 위한 첨단 과학기술과 자산을 도입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며 "미국의 대한(對韓) 방위 공약과 한미 연합 방위 태세는 철통같이 유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구체적인 증액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
이어"최근 몇 년 사이 자유 진영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진영 간 공급망 재편이 본격적으로 벌어지고 미국의 정책이 명확하게 중국을 견제하는 방향으로 갔다"고 설명했다.
한반도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미국과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북한의 도발에 강력히 대응하되 북한과의 대화를 위한 노력도 병행한다는 전략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열린 한·미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반도의 평화 정착과 비핵화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에서 핵확산금지조약(NPT)상 의무는 철저히 준수돼야 한다"며 "그것이 남북 모두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점도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화해와 협력의 남·북관계야말로 한국과 북한 모두에, 나아가 한국과 미국 양국 모두에 이익이 될 것이다. 그래야 한국 내 약 20만 명의 미국인들과 2만8500명의 주한미군이 더 안전해지고, 양국 국민의 일상도 더욱 번영할 것"이라고 한반도 평화가 미국을 위해서도 필요함을 시사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한·미동맹의 새로운 역사에 빠질 수 없는 또 하나의 파트너가 일본"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한미일 협력을 긴밀히 다지면서, 3국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공동대처할 것"이라고 역설했다.